서양 미술 사조 명화/르네상스77 숀가우어-Martin Schongauer 숀가우어 15세기의 가장 뛰어난 판화가 중 한 사람으로 당시의 자료들에 따르면, 숀가우어는 매우 많은 작품을 그린 화가로, 여러 나라에서 그가 패널에 그린 그림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그가 직접 그린 그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그중 콜마르에 있는 생마르탱 교회의 제단 장식인 〈장미 정원의 성모 Madonna in a Rose Garden〉(1473)가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부드러움과 위엄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숀가우어에게 깊은 영향을 준 플랑드르의 뛰어난 화가인 로히르 반 데르 웨이덴의 양식과 비슷한 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외에도 오를리악 제단의 좌우 제단화(콜마르 박물관), 〈예수 탄생 Nativity〉(베를린)과 〈성가족 Holy Family〉을 비롯한 6점의 작은 패널화, .. 2023. 9. 4.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 캔버스가 아닌 호두목판위에 그려진 그림이고, 폴란드의 국보로 지정된 그림이라고 한다. 그림에 그려진 여자는 세실리아 갈레라니로 밀라노의 지배자 루도비코 스포르차 공작의 정부였다고 한다. 2016년 원래 그림을 소장하고 있던 차르토리스키 재단에서 폴란드 정부에 그림을 넘기면서, 저렴하게 1억유로를 받았다고 한다. 이 여인이 앉고 있는 동물은 흰 족제비인데, 통상적인 족제비보다 훨씬 크게 그린 것이 논란거리였다. 하지만 여기서의 흰 족제비는 순결과 절제의 상징(흰털을 더럽히기 보다는 죽음을 택한다는...)으로 그려진 것이고, 사실주의적 관점에서의 비례를 보았다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비율을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가브리엘 천사가 성모께 수태를 알리는 상황을 그린 그림이며, 이전 시대의 프라 안젤리코나 리피의 그.. 2023. 8. 7.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한스 홀바인(Hans Holbein)은, 16세기 독일 르네상스 시기 초상화의 거장으로, 세밀하고 절제된 필선과 인물의 지위와 심리를 전달하는, 뛰어난 사실주의적 묘사로 유명한 예술가이다. 화가 가족의 초상 (홀바인) 화가 가족의 가족 초상화로작가가 직접 그린 이l다. Holbein의 아내 Elsbeth Binzenstock, 그들의 아들 Philipp 및 그들의 딸 Katharina를 묘사합니다. Elsbeth는 딸과 함께 벤치에 앉아 무릎에 손을 얹고 아들의 오른쪽 어깨에 손을 얹고 있습니다. 벤치에서 숫자 152(…)는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소녀의 왼손 손가락 끝과 마찬가지로 그림에서 마지막 숫자가 잘렸습니다. 가로로 접착된 세 장의 종이 스트립에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에 있는 두.. 2023. 7. 28. 시모네 마르티니 시모네 마르티니 Simone Martini 1285년-1344년 시모네는 두초와 함께 이탈리아 시에나를 대표하는 화가로, 르네상스 시대로 가기 전 고딕회화를 그 정점에 올려 놓은 화가이다. 수태고지와 두 성인 목판에 템페라, 265cm*305cm, 이 그림은 성모 마리아의 가정에 헌정된 시에나 대성당의 성 안사누스의 제단을 위해 완성되었다. 그림에서 대천사 가브리엘은 성모 마리아에게 나타나 예수의 곧 태어날 탄생을 알리고 금색 배경에 새겨진 비문에 나타난 단어로 그녀를 맞이한다 : "AVE GRATIA PLENA DOMINUS TECUM".,펄럭이는 망토와 날개를 펴는 것이 제안했듯이 천사의 모습은 갑작스럽다. 마리아는 망토를 입고 뒤로 몸을 감싼 채 괴로워한다. 장면의 주변 환경은 정의되지 않지만,.. 2023. 4. 12. 피에트로 로렌체티 피에트로 로렌체티(Pietro Lorenzetti, c.1290~1348)는 이탈리아 시에나파 화가이다. 그는 동생 암브로조 로렌체티와 함께 초기 르네상스 회화의 변혁을 일으켰다. 그가 1335-36년에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에 그린 은 마태오 21,1-11 ; 마르코 11,1-11 ; 루카 19,28-38 ; 요한 12,12-19이 그 배경이다. 2023. 4. 4. 피터 브뤼겔 피터 브뤼겔(Pieter Bruegel the Elder, 1525-1569년)은 네덜란드의 화가. 16세기 가장 위대한 플랑드르(Flemish art)화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주로 민간전설·습관·미신 등을 테마로 하였으나, 브뤼셀로 이주한 후로는 농민전쟁 기간의 사회불안과 혼란 및 에스파냐의 가혹한 압정에 대한 격렬한 분노 등을 종교적 제재를 빌어서 표현한 작품이 많아졌다. 그러나 그 후로는 점차 구도가 단순화되고 인물수도 적어졌으며, 극적 요소를 버리고 순수하게 사실적으로 때로는 비유적으로 농민의 실상을 묘사하게 되었다. 이 그림의 특징은 거대한 건축물과 세밀한 묘사가 합쳐졌다는 것이다. 창세기에는 바벨탑이 ‘신아르 지방의 한 벌판’에 세워졌다고 되어있으나, 브뤼겔은 이 바벨탑.. 2023. 3. 27. 티치아노 베첼리오 티치아노 베첼리오(이탈리아어: Tiziano Vecellio, 1488-90년경 ~ 1576년)는 북이탈리아 피에베 디 카도레에서 출생한 이탈리아의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에 활약했던 화가이다. 그의 창작 시기는 베네치아 공화국 회화의 황금기와 맞아 떨어졌다. 그 당시 베네치아는 경제적, 문화적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티치아노는 9살이 되었을 때 베네치아로 가서 젠틸레 벨리니와 조반니 벨리니 형제에게 사사했다. 1513년 그는 산 사물엘레에 자신의 작업장을 열었고, 유럽 전역에서 찬양을 받는 화가로 발전했다. 1515년경에는 명백한 베네치아 화파의 거장이 되어 지식인들의 찬사를 들었고 소장가들의 찬미를 받았으며 귀족이나 궁정의 부름을 더 많이 받게 되었다. 1520년대에 그의 명성이 퍼져나가기 시작하면서.. 2023. 3. 18. 페루지노 Perugino 이탈리아의 초기 르네상스 화가. 본명은 Pietro di Cristoforo Vannucci. 움브리아파에 속하며 라파엘로의 스승이다. 그리스도의 洗禮, 1490 ~ 1500, 목판에 템페라, 30×23.3cm, 비인美術館 시스티나 성당에 그린 벽화 (1480년 무렵 )의 중심적 모티프를 반복해서 그린 소품의 하나로, 페루지노 예술의 전성기 때의 작품이다. 화면의 그리스도는 루브르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아폴로와 마르시아스>에서 깊은 생각에 잠겨있는 아폴로와 흡사한 청년상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와 세례자의 중간 바로 위에는 흰 비둘기가 나타나는 황금빛 타원형이 성령(聖靈)의 상징으로 설정되어 있다. 중심적인 두 인물은 좌우 대칭적인 리듬의 명확한 구도를 보이는 데 반해, 우거진 초목을 배경으.. 2023. 3. 12. 지오르지오네 Giorgione 조르조네의 일생 이탈리아의 화가이며, 베네치아 파 르네상스의 창시자입니다. 그의 생애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불분명하며, 작품도 진품으로 검증된 것은 적습니다. 그의 생애 중 확실한 것은 페스트로 사망하였고, 화가 초기 시절에는 베네치아에서 조반니 벨리니의 제자가 되었다는 것뿐입니다. 그는 빛과 색조에 의한 통일을 중시하고, 풍경 묘사를 도입한 최초의 르네상스 화가였습니다. 그 결과 인물을 자연 가운데서 일체로 하는 시적인 이상주의적 공간을 창조했으며, 깨끗하고 맑은 색채와 뚜렷한 원색표현의 중점이 된 르네상스의 거장이 되었죠. 그의 새 양식이 베네치아의 같은 시대 화가들에게 끼친 영향은 대단하며, 특히 티치아노에 있어서는 그 예술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가 페스트로 불의에 죽었기 때문에 미완성 작품이 .. 2023. 3. 4. 이전 1 ···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