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54 코레지오-Antonio Allegri da Correggio Antonio Allegri da Correggio (1489년 8월 – 1534년 3월 5 일 ), 우리에게 Correggio 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전성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파르마 파 의 가장 뛰어난 화가였습니다. 16세기의 가장 활기차고 감각적인 작품을 그렸습니다. 역동적인 구성, 환상적인 원근법, 극적인 단축법을 사용하여 코레조는 17세기 바로크 미술과 18세기 로코코 미술을 예고했습니다. 남자의 초상(1520년경) 2023. 11. 27. 도메니코 기를란다요-Domenico Ghirlandaio 도메니코 기를란다요(Domenico Ghirlandaio, 1449~1494)는 미켈란젤로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작 위대한 제자는 스승에게서 아무것도 배운 것이 없다고 무시했다. Domenico Ghirlandaio ;는 전문적으로는 피렌체 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 였으며 프레스코화 그림에 뛰어난 화가였다. 손자와 노인의 초상 ( 1490 경 ) 루브르 박물관 2023. 11. 5. 휴고 판 데르 후스-Hugo van der Goes 휴고 판 데르 후스 Hugo van der Goes ( c. 1430/1440 – 1482)는 15세기 후반의 독창적인 플랑드르 화가 중 한 명으로 제단화와 초상화를 그리는 화가였습니다. 그는 특정 색상 범위의 사용 및 개인주의적인 초상화 방식을 통해 회화에 중요한 혁신을 도입했으며, 1483년부터 피렌체 에 있는 그의 걸작인 포르티나리 삼부작( Portinari Triptych) 의 존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 에서 사실주의 발전과 색채 사용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포르티나리 삼부작 치수 583 × 304cm 작가의 현존하는 가장 유명한 작품은 Portinari Triptych 입니다. 삼부작은 메디치 은행의 브뤼헤 지점장 인 토마소 포르티나리가 피렌체 의 산타 마리아 누오바병원에 있는 산 에지.. 2023. 10. 15. 루카스 크라나흐 루카스 크라나흐 (1515년 10월 4일 ~ 1586년 1월 25일) 독일 르네상스 화가이자 초상화가였으며, 루카스 크라나흐 대왕 의 아들이자 한스 크라나흐 의 형제. 2023. 9. 18. 숀가우어-Martin Schongauer 숀가우어 15세기의 가장 뛰어난 판화가 중 한 사람으로 당시의 자료들에 따르면, 숀가우어는 매우 많은 작품을 그린 화가로, 여러 나라에서 그가 패널에 그린 그림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그가 직접 그린 그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그중 콜마르에 있는 생마르탱 교회의 제단 장식인 〈장미 정원의 성모 Madonna in a Rose Garden〉(1473)가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부드러움과 위엄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숀가우어에게 깊은 영향을 준 플랑드르의 뛰어난 화가인 로히르 반 데르 웨이덴의 양식과 비슷한 점들을 가지고 있다. 그외에도 오를리악 제단의 좌우 제단화(콜마르 박물관), 〈예수 탄생 Nativity〉(베를린)과 〈성가족 Holy Family〉을 비롯한 6점의 작은 패널화, .. 2023. 9. 4. 한스 홀바인(Hans Holbein) 한스 홀바인(Hans Holbein)은, 16세기 독일 르네상스 시기 초상화의 거장으로, 세밀하고 절제된 필선과 인물의 지위와 심리를 전달하는, 뛰어난 사실주의적 묘사로 유명한 예술가이다. 화가 가족의 초상 (홀바인) 화가 가족의 가족 초상화로작가가 직접 그린 이l다. Holbein의 아내 Elsbeth Binzenstock, 그들의 아들 Philipp 및 그들의 딸 Katharina를 묘사합니다. Elsbeth는 딸과 함께 벤치에 앉아 무릎에 손을 얹고 아들의 오른쪽 어깨에 손을 얹고 있습니다. 벤치에서 숫자 152(…)는 그림의 오른쪽 아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소녀의 왼손 손가락 끝과 마찬가지로 그림에서 마지막 숫자가 잘렸습니다. 가로로 접착된 세 장의 종이 스트립에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에 있는 두.. 2023. 7. 28. 티치아노 베첼리오 티치아노 베첼리오(이탈리아어: Tiziano Vecellio, 1488-90년경 ~ 1576년)는 북이탈리아 피에베 디 카도레에서 출생한 이탈리아의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에 활약했던 화가이다. 그의 창작 시기는 베네치아 공화국 회화의 황금기와 맞아 떨어졌다. 그 당시 베네치아는 경제적, 문화적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티치아노는 9살이 되었을 때 베네치아로 가서 젠틸레 벨리니와 조반니 벨리니 형제에게 사사했다. 1513년 그는 산 사물엘레에 자신의 작업장을 열었고, 유럽 전역에서 찬양을 받는 화가로 발전했다. 1515년경에는 명백한 베네치아 화파의 거장이 되어 지식인들의 찬사를 들었고 소장가들의 찬미를 받았으며 귀족이나 궁정의 부름을 더 많이 받게 되었다. 1520년대에 그의 명성이 퍼져나가기 시작하면서.. 2023. 3. 18. 12. 현실성의 정복 : 15세기 초 12. 현실성의 정복 15세기 초 르네상스(Renaissance)라는 말은 재생 또는 부활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생이라는 념이 이탈리아에서 확고한 기반을 가지게 된 것은 조토 시대 이후의 일이었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시인이나 화가를 칭찬하고 싶을 때는 그의 작품이 고대의 것만큼 훌륭하다고 말했다. 조토는 이런 식으로 미술의 진정한 부활을 유도해낸 거장으로 칭송되었다. 즉 당시의 사람들은 그의 미술이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저술가들이 칭송했던 고대의 유명한 거장들의 걸작만큼 훌륭하다는 의미에서 이런 찬사를 보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이 이탈리아에서 널리 유행하게 되었다는 것은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탈리아 인들은 먼 옛날에는 로마를 수도로 한 자신들의 나라가 문명 세계의 중심이었는데, 고트족과 반달 족.. 2023. 3. 1.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얀 반 에이크는 15세기 플랑드르 지방에 사실주의 양식을 정착시켜 북유럽 회화의 르네상스를 이끈 인물이다. 당시 이탈리아는 회화에 있어 장식적인 우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현실적인 고딕 양식에서 자연과 인물을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묘사하는 양식으로 전환되던 시점이었다. 하지만 플랑드르 지역은 이탈리아의 이러한 사실적인 표현 양식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얀 반 에이크는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한 정밀 묘사와 냉엄하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결합하여 이탈리아와 구별되는 플랑드르만의 양식을 창출했다. 또한 그는 플랑드르 지역에 초상화 장르를 확립시켰으며, 유화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거의 모든 작품에 서명을 한 최초의 플랑드르 화가이기도 하다. 겐트 제단화 중 〈어린 양에 대.. 2023. 2. 17.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