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이야기/정원의 꽃과 나무 이야기886 리아트리스 리아트리스 하늘로 오를 것 같은 꺽다리 줄기에 자잘한 꽃들이 다닥다닥 위에서부터 피는 리아트리스. 추위에도 강해 월동도 잘되고 지저분하지 않아 여름꽃 으로는 좋습니다. 구근 2개를 심고 관심두지 않았는데도 4년 동안 잘 자라고 있네요 2022. 7. 23. 능소화 능소화과 > 능소화속 학명 Campsis grandifolia (Thunb.) K.Schum. 옛날에는 능소화 잎을 따 모아서 염액을 추출하였다고 하는데 의외로 염색이 잘 되는 식물로 동과 철을 매염제로 반복 염색하여 짙은 색을 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나팔모양의 꽃은 색상이 화려하고 점잖고 기품이 있으나 지는 꽃잎은 매우 지저분합니다. 옛날엔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어 '양반꽃'으로도 불렀다고 합니다. 2022. 7. 18. 애기범부채 애기범부채 붓꽃과, 애기범부채속 (Crocosmia) 학명 Crocosmia × crocosmiflora 다른 이름으로 '몬트브레티아' 라고도 합니다. 붓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많은 개량 품종이 있습니다. 2022. 7. 17. 땅나리 땅나리 백합과 > 백합속 학명 Lilium callosum Siebold & Zucc 예전 정원에 애기범부채, 범부채, 백합, 노랑참나리 동네에 함께 심었는데 노랑땅나리는 없어지고 애기범부채 사이에 한 개체. 주위의 애기범부채와 범부채를 뽑아주었더니 올해 두 송이 꽃을 보여 줍니다. 올해부터는 특별 관리 모드로 들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꽃이 밑(땅)을 향해 핀다고 하여 땅나리라고 하며 종명의 callosum은 "자색 반점이 있다(callosus)"는 뜻으로 꽃에 반점이 있다는 것을 나타 낸다는데 예전에는 반점이 있었는지 반점은 없다. 2022. 7. 16. 비비추 4 종류의 비비추가 차례로 꽃을 피워 주는데 처음에 좀비비추 두번째로 일월비비추 이어소 이름모른 비비추가 피었습니다. 2022. 7. 15. 하이베리쿰 물레나물과 > 물레나물속 학명 Hypericum patulum Thunb. 망종화, 금사매 라고 부릅니다. 요즘은 식물들의 이름이 속명(Hypericum)으로 많이 부르더군요 노란 꽃술이 매력적인 꽃. 그래서 금사매라고도 하고요 망종 때 핀다고해서 망종화 라고도 하고요 빨간 열매도 매력적 입니다. 2022. 7. 14. 동자꽃 석죽과 > 동자꽃속 학명 Lychnis cognata Maxim. 속명 리크니스Lychnis는 희랍어 lychnos(불꽃)에서 유래했으며, 붉은 빛이 도는 종에 붙인 이름이며, 종소명 cognata는 희랍어 cognatus(친근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매년 여름 정원에 진한 주홍색 꽃을 피워대는 동자꽃은 스님을 기다리다 얼어 죽은 동자를 묻은 곳에서 피어났다는 아픈 전설이 있는 꽃 이어서그런지 볼 때 마다 마음이 찡 해옵니다. 2022. 7. 10. 에케네시아 에케네시아 국화과 에키네시아속 학명 Echinacea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여러해살이풀로 꽃잎이 아래로 쳐지고, 이름은 고슴도치를 뜻하는 그리스어 echinos에서 유래되었으며, 오래전부터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만병통치약으로 사용할 정도로 훌륭한 약효를 지니고 있습니다. 인체에 독성은 없으면서도 다양한 질병에 약효가 탁월하여, 면역력을 높이고 염증 치료 등 항균 및 항바이러스 능력도 좋다고 하니, 잘생긴 외모에 능력도 있나 봅니다. 또 여름을 무서워하지 않고 장마와 월동에도 문제없이 잘 자랍니다. 최근 우리나라 제약회사에서 ‘에키나포스 프로텍트정’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어 시중 약국에서 판매하고 있는데 주성분은 항바이러스와 면역 증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진 천연 생약 성분이 ‘에키네시아’ 꽃 추출물이라고 합.. 2022. 7. 5. 벼룩이울타리 벼룩이울타리 석죽과 > 벼룩이자리 속 꽃색 백색 학명은 Arenaria juncea M.Bieb.인데 자잘한 하얀 꽃이 예쁜 이름에는 우리에게 해로우면서 높이 뛰는 곤충이 생각난다. 높이 뛰는 벼룩을 막으려면 울타리가 꽤나 높아야 할 텐데... 이 꽃은 그리 높지 않다. 그래도 벼룩이 뛰는 높이 보다는 높겠지--ㅎㅎ 북방계 식물인 귀한 식물이라는데 우리 집 정원에서도 5년째 잘 자란다 다만 북방계 식물이어서 그런지 번식은 별로다. 죽지 않고 매년 이렇게 꽃만 피어주는 것도 감사하다. 2022. 7. 3.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