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그림(한국화가)

김희겸

by 2mokpo 2024. 2. 1.

김희겸은 화원화가로 자는 중익(仲益), 호는 불염자(不染子), 불염재(不染齋)다. 희성(喜誠)이란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아들 후신(厚臣)도 화가였다. 그는 1748년(영조 24) 어진 제작에 참여할 정도로 인물화에 능했다. 지팡이를 짚은 선비의 뒷모습과 소등에 탄 동자의 율동감 넘치는 동작에서 그의 인물화 실력을 짐작할 수 있다.

 

김희겸(金喜謙,1710년대~1763년 이후)이 그린 적성래귀는 피리 불며 돌아오다라는 뜻이다. 원래 구절은 소잔등에서 피리 불며 짝지어 돌아올 때면 달빛은 앞 시내에 뚜렷이 떠오르네. 이 문장은 남송(南宋)의 유학자 나대경(羅大經, 1196~ 1242)이 지은 수필집 학림옥로산거(山居)’편에 들어 있다.

 

산속 생활의 즐거움을 읊은 산거는 중국과 조선의 문인들에게 인기가 많아 여러 작가들이 다투어 그림의 소재로 삼았다.

적성래귀

김희겸 역시 산거(산속 생활의 즐거움)’6폭으로 그렸는데 적성래귀는 마지막 6폭 째 그림이다.

‘적성래귀’ 6폭의 마지막인 까닭에 그림을 그린 날짜와 장소가 적혀 있다. ‘갑술년(1754) 늦봄(3월)에 초진 임소에서 그리다. 불염자’(甲戌暮春, 在椒鎭任所寫, 不染子)라고 되어 있다.

 

김희겸_산가독서

김희겸 산거중  2폭은 산가독서(山家讀書):산속 집에서 책을 읽다’,

김희겸 산정일장(山靜日長), 지본담채, 37.2 29.5cm. 간송미술관]

 김희견 산거중 1폭은 ‘산정일장(山靜日長):산은 고요하고 해는 길다’,

김희겸 산처치자

4폭은 산처치자(山妻稚子):촌티 나는 아내와 자식’,

산거에 묘사된 삶은 슬로우 라이프(slow life)’. ‘빨리빨리에서 벗어나 느리게 더 느리게사는 삶이다. 어떤 삶이 느리게 사는 것일까. 조바심을 내려놓고 마음에 여유를 담고 사는 삶이다.